POPUP 0

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 본문으로 바로가기

ESG경영

ESG경영

미세먼지 절감지원

미세먼지 계절관리제란?

*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인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평상시보다 강화된 미세먼지 저감·관리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말합니다.

도입배경

매년 12월에서 이듬해 3월은 한해 중 고농도 미세먼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기입니다. 초미세먼지 평균(2017년·2019년) 농도는 29㎍/㎡이며, 그외 기관인 2017·2019년 4·11월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20㎍/㎡입니다. 계절관리제 기관은 4·11월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 대비 약 45%가 높습니다. 이에 정부는 평상시보다 강화된 저감 및 관리 정책으로 미세먼지 기저(base) 농도를 낮춰 고농도의 빈도와 강도를 완화하고 , 강화된 관리로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.

목적

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석탄화력 발전소의 사용을 줄여 미세먼지 배출을 저감

시행 내용

  • 전력수급의 안정성을 전제로 최대한 석탄발전 가동 중지 및 상한 제약(최대 출력80%) 실시
    • 겨울철인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는 석탄발전소 8~14기를 가동정지
    • 봄철인 2023년 3월 가동정지 규모는 2023년 2월에 확정
  • 제3차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초미세먼지 관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석탄발전 가동축소, 5등급차량 운행제한 등 저감정책 시행으로 13만 2,486톤이 감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.
    • 물질별로 살펴보면 초미세먼지 직접 배출량은 6,800톤이 감축되었으며, 초미세먼지 생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인 황산화물은 4만 659톤, 질소산화물은 6만 2,070톤, 휘발성유기화합물은 2만 2,957톤이 감축됐다.
    • 초미세먼지 직접 배출량은 부문별로 분석하면, 발전·산업 부문에서 3,697톤, 수송 부문에서 1,977톤, 생활 부문에서 1,126톤 순으로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.

콘텐츠 정보책임자

  • 담당부서 전략기획팀
  • 담당자 심성수
  • 문의전화 061-330-8225

업데이트 2024/03/26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
0/1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