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PUP 0

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 본문으로 바로가기

주요사업

주요사업

[CAISO] 2017년 미국 캘리포니아(CAISO) 해외전력산업동향
  • 작성일2017/12/01 17:48
  • 작성자김진이
  • 조회수5,728
<캘리포니아 전력산업동향 요약>

1. 전력산업 구조
○ 캘리포니아의 전력산업 구조는 규제와 개방의 혼합 형태임. 즉, 도매시장은 CAISO가 관할하는 개방된 형태이지만, 소매시장은 여전히 CPUC가 규제하고 있는 상황임
○ 민영사업자(IOU)인 PG&E, SCE, SDG&E는 자사의 발전설비 및 도매전력시장에서의 전력구매를 통해 공급구역 내의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고 있으나, 소매요금은 CPUC가 규제

2. 설비현황 및 발전량
○ 캘리포니아의 발전용량은 2016년 기준으로 79,028 MW 이다. 전원구성은 천연가스가 42,629MW로 53.9%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, 그 뒤를 수력과 풍력이 차지하고 있다.

3. 전기요금
○ 캘리포니아의 전기요금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3.44% 상승하였으며, 동 기간 물가상승률 1.3%를 감안할 경우 높은 수치이다.
○ 2016년의 경우 SCE는 14.9¢/kWh, PG&E는 18.28 ¢/kWh, SDG&E는 20.54 ¢/kWh 였다. 한편, 동 사업자들의 전력판매 감소가 최근의 전기요금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.

4. 경쟁도입 현황
○ 캘리포니아는 인근 주 대비 높은 전기요금 및 고비용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경쟁을 도입하였으며, ’00~01년의 캘리포니아 전력위기 후, ‘02년 신규시장 도입 추진.
○ 지역별 가격 신호에 기반한 MRTU의 도입 및 Resource Adequacy 프로그램을 통해 적정 수준의 예비력을 확보하여 현물시장의 변동성에서 최종소비자 보호 및 신규 발전사업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

5. 주요 현안
○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‘20년 온실가스 배출수준을 1990년 수준으로, ’50년까지는 1990년 배출수준의 80%까지 감축하기로 하였으며, 이를 위해 분산형 전원의 확대, 친환경설비의 급전순위 우대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, 이외에도 ‘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3%까지 확대하는 RPS 제도를 도입·운영 중

*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* 문의사항은 전력경제연구실(061-330-8452)로 연락주십시오. 감사합니다.
첨부파일
  • pdf 첨부파일 2017_06_CAISO.pdf (2.89MB / 다운로드 2961회) 다운로드

콘텐츠 정보책임자

  • 담당부서 대외협력팀
  • 담당자 정아영
  • 문의전화 061-330-8205

업데이트 2024/03/26

콘텐츠 만족도 조사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

0/100